파이썬2 [알고리즘(7)] Python으로 알아보는 그래프(Graph) 취업해서 9개월만에 돌아옴 깔깔올해 안엔 이 시리즈 꼭 끝내야지 [알고리즘 포스팅 순서]1. 시간복잡도2. 배열3. 연결리스트4. 스택5. 큐6. 트리7. 그래프8. 해쉬테이블9. 정렬(선택, 버블, 삽입, 퀵, 힙, 병합)10. 코테 대비 백준 문제 풀이 꿀팁 [서론]그래프가 모든 알고리즘의 가장 근간?이라는 생각이 든다.다른 알고리즘을 설명할 때의 처음과 마지막이 되기 때문이다. 또한 코테에서 빠지지 않는 필수 문제인 DFS, BFS문제가 나오기 때문에 중요하다. [그래프란?]그래프(Graph)란 여러 개의 점과 선으로 이루어진 수학적인 개념이다.이전 포스팅 내용인 트리(Tree)가 그래프의 한 종류이다.일상 예시로는 교통 시스템, 컴퓨터 네트워크, 컴퓨터 자원 구조 할당, 신경 학습망 구.. 2024. 12. 7. [알고리즘(6)] Python으로 알아보는 트리(Tree) 취준 때문에 바빠서 2주만에 돌아왔다. 다시 꾸준히 글을 쓰려고 한다. [알고리즘 포스팅 순서] 1. 시간복잡도 2. 배열 3. 연결리스트 4. 스택 5. 큐 6. 트리 7. 그래프 8. 해쉬테이블 9. 정렬(선택, 버블, 삽입, 퀵, 힙, 병합) 10. 코테 대비 백준 문제 풀이 꿀팁 [서론] 난 많은 자료구조 중에서 이 '트리' 개념 때문에 초반에 자료구조의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기가 힘들었다. 용어도 많고 종류도 많고 관련 글도 많아서 복잡해서였다. 그래서 이 답답함을 해소하기 위해 이 알고리즘 시리즈를 시작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. '트리'에 대한 모든 것을 초! 간단하게 낱낱히 파헤치고자 한다. [트리란?] 트리(Tree)란 노드들이 나뭇가지처럼 연결되어 있는 비선형 자료구조를 의미한다... 2024. 3. 31. 이전 1 다음